논문 및 대표업적
<논문>
· 농촌지역의 유휴부동산 현황 파악을 위한 마이크로공간데이터 조사방법론,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제24권(집) , 제1호 , PP.135~147 , 2021.04.30
· 일본 진출 한국기업의 입지 특성: 도쿄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제23권(집) , 제3호 , PP.71~84 , 2020.12.23
· 韓国梁山市における土地利用からみた新旧市街地の地域特性比較, Theory and Applications of GIS , 제28권(집) , 제2호 , PP.71~77 , 2020.06.19
· 韓国の地方都市における業種構成と景観形成からみた中心商業地の変容: 忠清南道公州市の事例, 都市地理学 , 제15권(집) , PP.140~151 , 2020.03.31
· 일본 지방 중소도시의 유료주차장 확산과 중심시가지의 공동화: 가가와현(香川県) 다카마쓰시(高松市)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제22권(집) , 제1호 , PP.77~92 , 2019.04.30
· 韓国地方都市の中心商業地における店舗構成の変化: 釜山大都市圏・梁山市を事例として, 都市地理学 , 제14권(집) , PP.74~86 , 2019.03.31
· 빈집정보관리체계의 구축과 운영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동구를 사례로, 인천학연구 , 제1권(집) , 제30호 , PP.59~93 , 2019.02.28
· 나오시마(直島)의 아트프로젝트와 빈집문제에 대한 고찰, 일본학보 , 제116권(집) , PP.309~332 , 2018.08.31
<저서>
· 도시지리학개론, 법문사 , 2020.01.05
· 이주로 본 인천의 변화, 보고사 , 2019.02.28
· 지도로 만나는 근대도시 인천, 인천학연구원 , 2017.02.24
· 지도로 만나는 개항장 인천, 인천학연구원 , 2016.02.18
· 현장에서 바라본 동일본대지진: 3·11 이후의 일본 사회, 한울 , 2013.03.01
· 도쿄 메트로폴리스 : 시민사회·격차·에스닉 커뮤니티, 박문사 , 2012.01.01
· 近代日本の地?作製とアジア太平洋地域:「外邦?」へのアプロ-チ, 大阪大學出版會 , 2009.01.01